분산형 버전관리 시스템 Git의 모든 것을 배우고,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전 노하우를 습득하세요.
본 강의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도구인 Git의 기본 개념부터 실무 활용까지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총 36개의 강의를 통해 Git의 핵심 기능과 사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버전관리의 기초 개념부터 시작하여 Git의 설치, 환경 설정, 저장소 관리, 그리고 실제 프로젝트에서의 활용 방법까지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GUI 도구인 소스트리(Sourcetree)를 함께 다루어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131.002 일상에서 버전관리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08:08
131.003 오픈소스 깃
02:31
131.004 분산형 버전 관리 깃의 주요 특징
11:33
131-005 깃과 소스트리 설치 및 환경설정
04:34
131.006 깃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기
05:57
131.007 깃 리눅스 환경에서 설치하기
04:19
131.008 깃 맥 환경에서 설치하기
01:39
131.009 그래픽 깃 관리도구 소스트리 설치
05:47
131.010 깃 설치후 첫번째 실행
10:04
131.011 소스트리 실행과 기본 구조
04:04
131.012 깃 저장소의 로컬사용자 설정방법 안내
10:04
131.013 깃 사용자 글로벌 설정 방법
04:50
131.014 소스트리에서 사용자 등록 및 환경 설정
01:28
131.015 깃 저장소의 개념잡기
08:37
131.016 깃 저장소 안에 존재하는 숨겨진 폴더의 진실
07:39
131.017 소스트리를 이요한 깃 저장소 생성 및 기존 저장소 연결하기
05:06
131.018 깃 저장소의 워킹 디렉터리는 무엇인가요?
08:00
131.019 깃 스테이지 영역이란
11:05
131.020 깃 스테이지에서 파일이 변경 되었을때
08:27
131.021 깃 스테이지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02:23
131.022 소스트리에서 깃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02:17
131.023 gitignore 파일로 버전 이력 관리 제외하기
05:03
131.024 깃 저장소 복제하여 생성하는 방법
06:37
131.025 커밋이란
08:47
131.026 새로운 파일이 생성 되었을때 깃이 감지하는 방법
03:43
131.027 소스트리에서 새로운 파일 생성된 것을 감지합니다.
01:57
131.028 git add 명령으로 새로운 파일 등록하기
07:28
131.029 소스트리에서 파일을 스테이지 영역으로 등록하기
03:00
131.030 스테이지 영역에 등록된 파일을 확인합니다
01:30
131.031 스테이지 영역에 등록된 파일 목록을 취소하는 방법
07:15
131.032 소스트리에서 스테이지 영역의 등록 파일을 취소하는 방법
01:43
131.033 스테이지에 등록된 파일 이름이 변경 되었을때
03:59
131.034 첫번째 커밋전 HEAD 살펴보기
04:22
131.035 커밋전 파일 상태 확인하기
03:41
131.036 깃 commit 명령어 알아보기
04:00
131.037 커밋 메시지 기본 편집기 vi 알아보기
05:00
첫 번째 수강평을 남겨주세요!
다른 수강생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100% 10,000원
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