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로고
내 콘텐츠장바구니
no Image fallback
대표이미지

Git 마스터 클래스: 입문부터 실무까지

버전 관리의 기초부터 실무 활용까지 완벽 가이드

강사이호진
37강(3:27:33)
초급
기간무제한
수강료10,000
할인가0

"Git으로 시작하는 체계적인 버전관리, 기초부터 실무까지 한 번에 마스터하세요!"

분산형 버전관리 시스템 Git의 모든 것을 배우고,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전 노하우를 습득하세요.


본 강의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도구인 Git의 기본 개념부터 실무 활용까지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총 36개의 강의를 통해 Git의 핵심 기능과 사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버전관리의 기초 개념부터 시작하여 Git의 설치, 환경 설정, 저장소 관리, 그리고 실제 프로젝트에서의 활용 방법까지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GUI 도구인 소스트리(Sourcetree)를 함께 다루어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 이 강의는 유튜브 채널 '@지니코딩'에 업로드 중인 영상입니다. 지금 수강 신청하시면 추후 유튜브 회원 전용 콘텐츠로 전환 시까지 무료로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무엇을 배우는 강의인가요?


  • Git의 기본 개념과 버전관리의 중요성
  • Windows, Linux, Mac 환경에서의 Git 설치 및 설정
  • 소스트리를 활용한 그래픽 인터페이스 Git 관리
  • Git 저장소 생성 및 관리 방법
  • 스테이징, 커밋 등 Git의 핵심 기능 활용
  • .gitignore 설정 및 파일 관리
  •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Git 명령어와 작업 흐름

누구를 위한 강의인가요?


  • 버전관리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개발 입문자
  • Git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은 개발자
  • 소스트리를 활용해 GUI로 Git을 배우고 싶은 사용자
  • 실무에서 Git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싶은 현업 개발자
  • 팀 프로젝트에서 체계적인 버전관리가 필요한 팀원들

강의를 수료하고 나면?


  • Git의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명령어와 GUI 도구를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 실무 프로젝트에서 버전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팀 협업에 필요한 Git 활용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 버전관리 관련 문제를 독립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강사

이호진

이호진

전기전자를 전공하고 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웨어 설계, 펌웨어, 로봇 개발 등과 관련된 일을 했다. 또한 산업용 레이저 프린터, ARM, 언어 분석, 알고리즘 개발을 했다. 외국계 기업에서 리눅스 운영체제, 백업 및 서버 가상화 등 다양한 비즈니스 경험을 거쳐 최근에는 웹 및 모바일과 관련된 개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는 경험과 지식을 후배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관련 내용을 정리하며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커리큘럼

재생 131.002 일상에서 버전관리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131.002 일상에서 버전관리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08:08

재생 131.003 오픈소스 깃131.003 오픈소스 깃

02:31

재생 131.004 분산형 버전 관리 깃의 주요 특징131.004 분산형 버전 관리 깃의 주요 특징

11:33

재생 131-005 깃과 소스트리 설치 및 환경설정131-005 깃과 소스트리 설치 및 환경설정

04:34

재생 131.006 깃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기131.006 깃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기

05:57

재생 131.007 깃 리눅스 환경에서 설치하기131.007 깃 리눅스 환경에서 설치하기

04:19

재생 131.008 깃 맥 환경에서 설치하기131.008 깃 맥 환경에서 설치하기

01:39

재생 131.009 그래픽 깃 관리도구 소스트리 설치131.009 그래픽 깃 관리도구 소스트리 설치

05:47

재생 131.010 깃 설치후 첫번째 실행131.010 깃 설치후 첫번째 실행

10:04

재생 131.011 소스트리 실행과 기본 구조131.011 소스트리 실행과 기본 구조

04:04

재생 131.012 깃 저장소의 로컬사용자 설정방법 안내131.012 깃 저장소의 로컬사용자 설정방법 안내

10:04

재생 131.013 깃 사용자 글로벌 설정 방법131.013 깃 사용자 글로벌 설정 방법

04:50

재생 131.014 소스트리에서 사용자 등록 및 환경 설정131.014 소스트리에서 사용자 등록 및 환경 설정

01:28

재생 131.015 깃 저장소의 개념잡기131.015 깃 저장소의 개념잡기

08:37

재생 131.016 깃 저장소 안에 존재하는 숨겨진 폴더의 진실131.016 깃 저장소 안에 존재하는 숨겨진 폴더의 진실

07:39

재생 131.017 소스트리를 이요한 깃 저장소 생성 및 기존 저장소 연결하기131.017 소스트리를 이요한 깃 저장소 생성 및 기존 저장소 연결하기

05:06

재생 131.018 깃 저장소의 워킹 디렉터리는 무엇인가요?131.018 깃 저장소의 워킹 디렉터리는 무엇인가요?

08:00

재생 131.019 깃 스테이지 영역이란131.019 깃 스테이지 영역이란

11:05

재생 131.020 깃 스테이지에서 파일이 변경 되었을때131.020 깃 스테이지에서 파일이 변경 되었을때

08:27

재생 131.021 깃 스테이지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131.021 깃 스테이지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02:23

재생 131.022 소스트리에서 깃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131.022 소스트리에서 깃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02:17

재생 131.023 gitignore 파일로 버전 이력 관리 제외하기131.023 gitignore 파일로 버전 이력 관리 제외하기

05:03

재생 131.024 깃 저장소 복제하여 생성하는 방법131.024 깃 저장소 복제하여 생성하는 방법

06:37

재생 131.025 커밋이란131.025 커밋이란

08:47

재생 131.026 새로운 파일이 생성 되었을때 깃이 감지하는 방법131.026 새로운 파일이 생성 되었을때 깃이 감지하는 방법

03:43

재생 131.027 소스트리에서 새로운 파일 생성된 것을 감지합니다.131.027 소스트리에서 새로운 파일 생성된 것을 감지합니다.

01:57

재생 131.028 git add 명령으로 새로운 파일 등록하기131.028 git add 명령으로 새로운 파일 등록하기

07:28

재생 131.029 소스트리에서 파일을 스테이지 영역으로 등록하기131.029 소스트리에서 파일을 스테이지 영역으로 등록하기

03:00

재생 131.030 스테이지 영역에 등록된 파일을 확인합니다131.030 스테이지 영역에 등록된 파일을 확인합니다

01:30

재생 131.031 스테이지 영역에 등록된 파일 목록을 취소하는 방법131.031 스테이지 영역에 등록된 파일 목록을 취소하는 방법

07:15

재생 131.032 소스트리에서 스테이지 영역의 등록 파일을 취소하는 방법131.032 소스트리에서 스테이지 영역의 등록 파일을 취소하는 방법

01:43

재생 131.033 스테이지에 등록된 파일 이름이 변경 되었을때131.033 스테이지에 등록된 파일 이름이 변경 되었을때

03:59

재생 131.034 첫번째 커밋전 HEAD 살펴보기131.034 첫번째 커밋전 HEAD 살펴보기

04:22

재생 131.035 커밋전 파일 상태 확인하기131.035 커밋전 파일 상태 확인하기

03:41

재생 131.036 깃 commit 명령어 알아보기131.036 깃 commit 명령어 알아보기

04:00

재생 131.037 커밋 메시지 기본 편집기 vi 알아보기131.037 커밋 메시지 기본 편집기 vi 알아보기

05:00

수강 후기

첫 번째 수강평을 남겨주세요!
다른 수강생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100% 10,00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