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K
인문학은 딱딱하고, 경제학은 복잡하다? 어려울 것만 같은 둘이 만나 새로운 지식의 장을 펼친다. 신화에서 현대사까지, 고전에서 현대문학까지, 예술에서 철학까지, 인문학의 전 분야를 종횡무진하며 숨어 있는 경제원리를 찾아낸다. 경제학자의 색다른 프레임을 따라가다 보면 인문학과 경제학이 머릿속에 동시에 들어온다.
KDI에서 경제교육 관련 업무를 하면서 어떻게 하면 경제개념들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설명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많이 고민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떠오른 것이 얼마 전부터 화두가 되고 있는 학문 간 ‘통섭(統攝)’이었죠. 근래에 많은 사람들이 인문학을 강조하고 타 학문과 인문학을 연결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경제학과 인문학의 결합을 시도한 책은 찾아보기 힘들었습니다. 외국 문헌 중에 인문학을 통해 경제학을 설명하는 책들이 몇 권 있기는 하지만 아쉬운 점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문학을 바탕으로 경제학을 설명하는 책은 문학작품 본문 중 경제개념이 등장하는 부분만 발췌하고, 작품에 대한 별다른 설명 없이 관련 개념을 그냥 쭉 설명하는 식으로 분절 구성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스토리텔링이라 보기는 어려운 거죠. 그리고 일반인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작품을 소재로 끌어오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저희 둘이 이 책을 집필한 것은 셜록 홈즈, 해리 포터 등 사람들에게 친숙한 소재를 통해서 진정한 의미의 스토리텔링을 해보고자 하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케임브리지대학 최초의 경제학과 교수인 알프레드 마샬(Alfred Marshall)은 경제학을 ‘인간의 일상생활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그리고 1970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사무엘슨(Paul Samuelson)은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경제학이라고 말했습니다. 즉, 직접적으로 돈에 관련된 행위가 아니더라도 인간의 모든 선택 행위는 경제학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입니다. 소설가, 예술가, 철학자들은 누구보다도 예리한 시각으로 인간을 관찰하고 그것을 정교하게 표현하는 사람들입니다. 인문학에서 경제를 읽어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책의 서문에서도 기술했지만 노벨상 수상자들을 비롯한 경제학 분야의 대가들이 세운 여러 이론들은 이전에 없었던 것을 발명한 것이라기보다는 오랜 전부터 있어왔던 행태들을 규명해낸 ‘발견’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법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하는 법경제학이 유행하는 등 경제학의 활용 범위는 날이 갈수록 넓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경제학과 인문학의 접목은 색다른 시도가 아니라 통섭 시대의 보편적 트렌드로 자리 잡으리라 생각합니다.

[노던락 은행의 뱅크런 사태]

[최근 우리나라의 저축은행 뱅크런 사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