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의 시대에
올바른 나의 진로를 찾아라!
파도의 물길을 바꾸겠다는 열정으로 변화를 리드한다면
성공의 보람과 인생의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 뚜렷한 목표를 가지지 못한 대학생이나, 좁디좁은 취업의 문을 뚫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위한 진로•취업 지침서이다. 먼저 주어진 환경과 취업난을 탓하기보다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고, 어떤 미래가 될지를 예측해볼 것이다. 그런 다음 나의 전공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대한 전략을 소개하고, 직업의 세계를 살펴보면서 자신의 직업 영역을 구체적으로 찾아볼 것이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세상에서 젊은이들이 자신의 적성과 전공을 살려 자신과 사회를 위해 신나고 멋진 도전을 하기를 바라는 저자의 간곡한 주문이 담겨 있는, 바로 여러분을 위한 책이다.
누구를 위한 책인가
진로와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과 청년층을 위한 기본 진로지침서이다.
대학생활을 통해 성공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변화하는 세상과 미래를 예측하는 지혜를 기르고, 자신의 존재감과 잠재 특성을 파악해서 대학생활에 활용하는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진로에 대해 뚜렷한 목표를 가지지 못했거나,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에게 필요한 공통 교양의 필수 내용을 담고 있다. 대학에서의 진로 소양 형성과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전략과 목표수립에 많은 도움을 제공한다. 진로나 취업 목표에 대한 개념 이해와 정확한 방향을 확보해서, 성공적 진로와 취업에 이르는 과정에서 필요한 핵심 내용을 담은 책이다.
무엇을 다루는가
이 책은 크게 세 가지의 영역을 다룬다.
① 변화를 알자는 것이다.
② 직업의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다.
③ 진로를 설계하는 과정에 여러 핵심 요소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반영하자는 것이다.
Chapter 01 글로벌 세계의 새로운 변화
1.1 전통적 변화와 새로운 변화 • 16
1.1.1 인류 문명과 사회적 변화 • 16
1.1.2 뉴 거버넌스 개념의 확산 • 18
1.2 사회적•경제적 변화 • 20
1.2.1 세계화의 가속성 • 20
1.2.2 새로운 신흥국가의 등장과 발전 • 22
1.2.3 기후와 환경의 변화 • 24
1.3 과학기술과 산업의 변화 • 26
1.3.1 유비쿼터스 혁명의 개념 • 26
1.3.2 융복합의 이해와 활용 • 28
1.3.3 미래의 핵심 기술 • 31
1.3.4 핵심 산업의 변화 • 35
1.4 인구와 다문화 가족 • 37
1.4.1 국제 인구 변화 • 37
1.4.2 다문화 가족의 형성 • 37
연습과제 • 40
Chapter 02 생애주기 변화와 진로
2.1 경제와 생활 • 46
2.1.1 국내 경제 현실 • 46
2.1.2 교육과 고용 환경 • 49
2.1.3 SNS와 스마트폰 보급 • 52
2.1.4 정부와 공무원 채용 • 54
2.2 인구 변화의 영향 • 57
2.2.1 인구성장률 • 57
2.2.2 연령계층별 인구 분석 • 57
2.3 새로운 생애주기 • 59
2.3.1 삶의 본질 • 59
2.3.2 세대 변화와 갈등 • 60
2.3.3 주거와 생활 • 61
2.3.4 사회•문화•종교적 활동 • 62
연습과제 • 64
Chapter 03 대학생활의 가치와 진로
3.1 대학생활의 개념 • 68
3.1.1 대학교육의 의미 • 68
3.1.2 진로 관점의 대학생활 • 69
3.1.3 대학생활의 특성 • 70
3.2 바람직한 대학생활 • 73
3.2.1 대학생의 진로설계 • 73
3.2.2 학업 관리와 취업 준비 • 77
3.2.3 인맥관리와 리더십 • 80
3.2.4 효율적인 여가 활동 • 80
3.3 성공적인 대학생활의 조건 • 81
3.3.1 개인경쟁력과 강좌 선택 • 81
3.3.2 성공적인 생활의 원칙 • 82
연습과제 • 87
Chapter 04 대학의 학습전략
4.1 학습전략의 개요 • 90
4.1.1 학습전략의 중요성 • 90
4.1.2 학습전략의 방향 • 90
4.1.3 학습전략의 구성요소 • 91
4.2 학습동기 • 93
4.2.1 학습동기의 역할과 중요성 • 93
4.2.2 학습동기 저해 요인 • 94
4.2.3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실천 전략 • 95
4.3 학습인지전략 • 99
4.3.1 인지전략의 개념 • 99
4.3.2 집중력 향상 전략 • 99
4.3.3 읽기 전략 • 101
4.3.4 쓰기 전략 • 101
4.3.5 기억력 향상 전략 • 102
4.3.6 직관력을 이용한 학습 • 103
4.3.7 기억술의 활용 • 103
4.4 학업불안의 관리 • 105
4.4.1 불안에 대한 이해 • 105
4.4.2 불안정도의 점검 • 105
4.4.3 불안의 인지와 조절 • 107
4.5 시간관리 • 110
4.5.1 시간관리 수준의 점검 • 110
4.5.2 시간관리의 중요성 • 111
4.5.3 시간관리 방법과 실천 전략 • 111
4.5.4 주간 계획표 작성하기 • 114
4.6 학습자원의 활용 • 115
4.6.1 자원활용의 개념 • 115
4.6.2 효과적인 학습자원의 활용 • 115
연습과제 • 117
Chapter 05 자아발견과 자기계발
5.1 자아발견과 자기계발의 개념 • 120
5.1.1 대학생으로서의 청년기 인생 • 120
5.1.2 자아발견의 이해 • 121
5.2 대학생활과 자아실현 • 124
5.2.1 자기분석 • 124
5.2.2 자아실현의 과정 • 125
5.3 자기계발의 방법 • 127
5.3.1 자기 변화와 발전 • 127
5.3.2 자기계발의 방법 • 129
5.3.3 행복한 성공 • 132
5.4 성공에 필요한 명언 정리 • 134
5.4.1 자기계발 • 134
5.4.2 인간관계 • 137
5.4.3 성공과 실패 • 139
5.4.4 목표설정과 문제해결 • 142
연습과제 • 144
Chapter 06 개인 특성과 진로
6.1 흥미와 진로 • 148
6.1.1 진로와 직업에 대한 흥미 • 148
6.1.2 홀랜드의 직업흥미 이론 • 148
6.1.3 흥미검사의 분석 • 152
6.2 적성과 진로 • 156
6.2.1 적성의 개념 • 156
6.2.2 적성검사의 요인 • 157
6.2.3 검사결과의 분석과 활용 • 160
6.3 성격과 진로 • 162
6.3.1 성격검사의 개념 • 162
6.3.2 MBTI 검사 • 163
6.4 가치관과 진로 • 169
6.4.1 가치관의 개념 • 169
6.4.2 직업가치관검사의 요인 • 169
6.4.3 직업가치관의 검사방법 • 170
6.5 ‘나’를 찾고 정리하기 • 172
6.5.1 개인 특성 검사의 활용 • 172
6.5.2 ‘나’의 특성 정리 • 173
연습과제 • 174
Chapter 07 직업세계의 이해
7.1 직업의 개념 • 182
7.1.1 직업이란 • 182
7.1.2 직업적 진로의 중요성 • 186
7.2 직업의 분류 체계 • 188
7.2.1 직업분류의 변화 • 188
7.2.2 직업분류의 목적 • 188
7.2.3 한국표준직업분류 • 189
7.2.4 한국고용직업분류 • 196
7.3 직업사전의 활용 • 199
7.3.1 직업사전이란 • 199
7.3.2 직업사전의 내용 • 200
7.4 신생•유망직업 • 202
7.4.1 신생•유망직업의 등장 배경 • 202
7.4.2 외국의 이색직업 • 203
7.4.3 유망•이색직업의 분석 • 204
7.5 미래의 직업세계 • 206
7.5.1 유망직업의 전망 • 206
7.5.2 직업 전망 요인과 분야 • 206
7.5.3 분야별 미래 유망직업의 분석 • 207
연습과제 • 211
Chapter 08 직업정보의 탐색과 활용
8.1 진로와 직업 정보 • 214
8.1.1 진로정보의 개념 • 214
8.1.2 직업정보의 가치 • 215
8.2 직업정보의 활용 • 216
8.2.1 직업정보의 구성 • 216
8.2.2 직업정보 활용의 고려 사항 • 217
8.3 직업정보의 탐색 • 220
8.3.1 직업정보의 수집과 활용 개념 • 220
8.3.2 직업정보탐색 방법 • 222
8.3.3 자격과 직업훈련정보 • 223
8.3.4 한국직업정보시스템 활용 • 230
8.4 국내•국외 직업정보 안내 • 239
8.4.1 국내 웹사이트 • 239
8.4.2 해외 웹사이트 • 241
연습과제 • 244
Chapter 09 노동시장의 구조와 변화
9.1 노동시장의 변화 • 252
9.1.1 직업의 변화 요인 • 252
9.1.2 직무유형에 의한 변화 • 252
9.1.3 직무수준에 의한 변화 • 254
9.1.4 학력에 의한 변화 • 256
9.2 취업동향의 분석과 활용 • 257
9.2.1 경제활동인구 동향 • 257
9.2.2 산업구조별 동향 • 259
9.3 청년층 고용과 노동정책 • 261
9.3.1 청년층 고용 동향 • 261
9.3.2 청년고용정책 • 262
9.3.3 향후 고용정책 방향 • 264
9.4 해외취업동향 • 267
9.4.1 해외취업의 현실 • 267
9.4.2 글로벌 인재육성 사업 • 268
연습과제 • 270
Chapter 10 진로개발정책과 자원 활용
10.1 대학교육과 진로 • 274
10.1.1 대학생의 진로 특성 • 274
10.1.2 진로개발과정과 과제 • 276
10.1.3 진로교육의 현실 • 276
10.2 직업생활과 진로교육 • 278
10.2.1 바람직한 인재상 • 278
10.2.2 학력과 능력의 불일치 • 283
10.3 대학의 진로개발 자원 • 285
10.3.1 대학의 진로•취업 프로그램 현황 • 285
10.3.2 진로•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평가와 방향 •
10.4 진로•취업지원제도의 활용 • 290
10.4.1 진로•취업지원사업의 개요 • 290
10.4.2 각종 제도와 진로개발자원 소개 • 291
연습과제 • 300
Chapter 11 진로결정과 목표달성
11.1 삶과 진로 • 304
11.1.1 바람직한 삶 • 304
11.1.2 진로와 행복의 관계 • 305
11.2 직업선택의 방향 • 307
11.2.1 직업선택의 현실 • 307
11.2.2 자기주도적 직업선택 • 308
11.2.3 직업선택의 기준 • 309
11.3 진로의사결정 • 314
11.3.1 의사결정의 개념 • 314
11.3.2 결정되지 못한 진로의 이해 • 315
11.3.3 Harren의 의사결정 유형 • 317
11.3.4 합리적인 의사결정 절차 • 318
11.3.5 직업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 319
11.4 목표설정과 진로계획 • 322
11.4.1 목표설정의 필요성 • 322
11.4.2 목표와 계획의 관계 • 323
11.4.3 진로에 대한 목표와 계획 • 324
11.5 진로장벽과 문제해결 • 328
11.5.1 진로장벽의 정의 • 328
11.5.2 진로장벽의 종류 • 328
11.5.3 적응에 대한 유연성 • 329
11.5.4 진로장벽의 제거 • 330
연습과제 • 334
Chapter 12 취업역량과 포트폴리오 관리
12.1 직업인의 핵심가치 • 340
12.1.1 역량의 개념 • 340
12.1.2 교육역량과 취업역량 • 341
12.2 대학생활과 개인역량관리 • 346
12.2.1 성공적인 대학생활 • 346
12.2.2 자가진단의 수레바퀴 • 352
12.2.3 프랭클린 플래너 • 352
12.3 성공사례 소개와 활용 • 354
12.3.1 대학생활 관련 사례 • 354
12.3.2 인물과 명사의 사례 • 357
12.3.3 책의 사례 • 359
연습과제 • 361
참고문헌 • 369
INDEX •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