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메일로 질문 드렸던 자료형 질문과 답변 파일 올릴께요 ^_^
// 질문
152 페이지
package primitive_type;
public class LiteralExample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double 자료형 12.025 = " + 12.025);
System.out.println("double 자료형 양수 지수 표현 12e3 = " + 12e3);
System.out.println("double 자료형 음수 지수 표현 12e-3 = " + 12e-3);
System.out.println("double 자료형 16진수 0xA1.27p5 = " + 0xA1.27p5);
}
}
// 실행결과
double 자료형 12.025 = 12.025
double 자료형 양수 지수 표현 12e3 = 12000.0
double 자료형 음수 지수 표현 12e-3 = 0.012
double 자료형 16진수 0xA1.27p5 = 5156.875
실행결과에서요 0xA1.27p5 = 5156.875 이렇게 출력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156 페이지
\uC790 = 자
\166 = v
이렇게 출력되는 이유좀 가르쳐주세요 유니코드 보는 방법을 몰라서요 ...
==> 답변 부분
안녕하세요, 김윤명입니다.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첫번째 질문에 대한 답을 하기 전에 먼저 그에 관련된 본문의 내용이 잘못되어서 정정부터 하겠습니다.
[예제 3-9]의 위쪽에 있는 [double 타입 리터럴의 예 (4)]의 설명을 보면
"0xA1.27 x 165 값에 해당하는 부동소수점 리터럴입니다."라고 되어 있는데, 165 가 아니라 25 입니다.
그러니까 이 값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xA1.27 x 25 = (10 x 161 + 1 x 160 + 2 x 16-1 + 7 x 16-2) x 25 = 5156.875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146 페이지에 있는 [그림 3-24]를 참고해서 유니코드 코드 값을 찾아보면 됩니다.
하지만 지금은 유니코드의 홈페이지가 많이 바뀌었으므로 [그림 3-24]와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찾아보아야 합니다.
왼쪽에 있는 Unicode Standard 메뉴를 선택하고, 그 메뉴 아래에서 Code Charts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면 http://www.unicode.org/charts/ 주소의 웹 페이지가 나오는데,
거기에 있는 여러 링크들 중에서 Hangul Syllables을 선택하면 한글에 대한 코드가 가부터 나올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페이지를 죽 넘겨보면 자에 대한 코드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방법 외에 코드를 이용해서 유니코드를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Code Charts 페이지 위쪽에 있는 검색창을 이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자의 코드에 해당하는 C790을 입력하면 http://www.unicode.org/charts/PDF/UAC00.pdf라는 URL 링크가 나오는데
이 링크를 클릭하면 Hangul Syllables 메뉴를 선택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한글에 대한 코드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v의 경우에는 ASCII 코드에 해당하므로 Code Charts 페이지에 있는 ASCII Characters 링크를 클릭하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제에 있는 \166이라는 8진수를 16진수로 바꾸면 0x0076가 되는데,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찾아보면 소문자 v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코드로 검색하려면 검색창에 0076나 76이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원하는 답변이 되셨습니까?
또 다른 의문점 있으시면 다시 질문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윤명